분류 전체보기 279

책이 출간되었습니다

그간 동남아와 20년 넘게 맺어온 인연으로 모아온 동남아 음식관련 메모내용을 바탕으로 블로깅을 했고, 또 이를 토대로 책을 내게되었습니다.교보문고 POD(Print on demand, 주문시 제작들어가서 재고운영이 불필요한 출간시스템)로 책을 내게되어 초기투자비는 거의들지 않았으나, 글부터 삽입 이미지와 표지 디자인까지 오롯이 혼자 했었기에 노력과 정성은 생각보다 많이 투입되게 되었네요.그러다보니 어느것보다 애정이 가는 저의 산출물중 하나가 되었습니다.광고할데가 없어 블로그에나마 남겨봅니다.https://search.kyobobook.co.kr/search?keyword=%EB%8F%99%EB%82%A8%EC%95%84+%EC%9D%8C%EC%8B%9D%EC%97%B0%EB%8C%80%EA%B8%B0&g..

싱가포르 편 - 국적 없는 국적의 도시, 냄비 하나로 이어진 정체성

싱가포르는 도시국가다. 동시에 복합국가다. 인구는 적지만, 언어는 많고, 땅은 작지만, 정체성은 깊다. 이 나라의 음식 문화는 그 복잡함을 가장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공간이다. 길 위에 놓인 냄비 하나에는 말레이의 뿌리, 중국의 방식, 인도의 향신료, 그리고 영국의 유산이 동시에 담긴다. 거리는 짧지만, 요리의 여정은 길다.싱가포르의 거리 음식은 흔히 '호커 센터(Hawker Centre)'로 대표된다. 에어컨 없는 개방형 푸드코트는 매일 수천 개의 냄비가 끓고 볶아지는 살아 있는 시장이며, 국민들의 식탁이다. 미슐랭 별을 받은 닭고기 라이스도 여기서 나왔고, 천 원짜리 식사도 같은 공간에서 끓는다. 이 도시국가의 정체성은 서류에 쓰인 국적보다, 거리의 연기와 냄비에서 더 잘 드러난다.우리가 지금 만나볼 ..

말레이시아 편 - 냄비 안의 민족, 냄비 밖의 공존

말레이시아의 거리를 걷다 보면 코끝을 자극하는 수많은 향신료의 향기, 각양각색의 언어가 엇갈리는 목소리, 그리고 증기로 가득 찬 작은 포장마차의 풍경이 먼저 다가온다. 이곳에서 거리 음식은 단순한 식문화가 아니다. 그것은 다민족, 다언어, 다종교의 말레이시아가 어떤 방식으로 공존하고, 갈등하고, 다시 어우러지는지를 가장 잘 보여주는 일상의 기록이자 거울이다.하나의 냄비에 각기 다른 문화의 재료가 들어가고, 같은 불로 끓여지며, 각자의 방식으로 먹는다. 그 안에는 말레이계, 중국계, 인도계, 그리고 이슬람과 힌두교, 불교가 함께 살아가는 방식이 녹아 있다. 말레이시아의 거리 음식 냄비는 때로는 타협의 공간이자, 때로는 정체성의 선언이기도 하다.지금부터 펼쳐질 다섯 개의 냄비는 그저 허기를 달래는 음식이 아..

인도네시아 편 - 열대의 증기와 신의 숨결 사이

인도네시아의 거리는 늘 습하고, 붐비며, 역동적이다. 그러나 그 복잡한 흐름 속에도 일정한 리듬이 있다. 바로 음식 냄비가 끓는 소리, 뚜껑 사이로 피어오르는 향신료의 김, 그리고 그것을 둘러싼 사람들의 목소리. 인도네시아의 냄비는 단지 조리의 도구가 아니라 신에게 바치는 기도이며, 일상을 지탱하는 중심축이다.무슬림이 대다수를 차지하지만 힌두교, 기독교, 불교, 원시 종교가 공존하는 이 나라에서 음식은 경계를 넘는 대화이다. 수천 개 섬에서 각각의 언어와 관습이 다른 만큼, 냄비의 내용물도 각기 다르다. 그러나 하나로 모이는 점은 있다. 그 어떤 종교, 그 어떤 계층도 배고픔 앞에서는 냄비를 중심으로 모인다는 것이다.지금부터 살펴볼 다섯 개의 냄비는 자카르타의 분주함, 족자의 고요함, 발리의 신성함, 수..

필리핀 편 - 바람 속을 누비는 향기의 그릇

필리핀의 거리에는 언제나 바람이 분다. 열대의 공기 속에는 탄 냄새와 바나나 잎, 그리고 고기국의 향이 섞여 들고, 그 모든 향기를 담고 있는 건 다름 아닌 하나의 냄비다. 이 냄비는 때로는 바베큐 장작불 위에 놓이고, 때로는 플라스틱 천막 아래에서 은근한 불에 끓는다. 섬나라 필리핀에서 냄비는 하나의 ‘육지’다. 그 안에서 끓는 것은 물과 향신료만이 아니라, 섬사람들의 생활감과 유대감이다.길 위의 냄비는 이 나라의 다양성과 통합을 동시에 보여주는 거울이다. 각 지역, 각 언어, 각 문화가 뒤섞인 필리핀에서 거리 음식은 공통의 언어다. 한 그릇의 국과 고기, 그리고 그것을 둘러싼 사람들의 웃음 속에 필리핀의 진짜 풍경이 담겨 있다. 지금부터, 그 다섯 개의 냄비 이야기를 들여다보자.1. 시니강 냄비 – ..

태국 편 - 국물 위에 떠오르는 미소의 나라

태국의 거리에서 삶은 언제나 뜨겁다. 북부의 산악 마을에서부터 방콕의 혼잡한 골목, 남부의 해변 도시까지, 어디에서나 끓는 냄비 하나가 길 위를 밝힌다. 거기에는 매운 고추의 향과 달큰한 코코넛 밀크, 진한 육수의 깊이가 담긴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을 끓여내는 사람들의 얼굴엔 특유의 미소가 있다. 태국 사람들은 웃으며 국자를 들고, 웃으며 끓이고, 웃으며 한 그릇을 건넨다. 미소의 나라에서 국물은 단지 요리의 기반이 아니라, 정서의 매개체다.오늘 우리는 태국의 다섯 개의 냄비를 따라 걷는다. 매운맛과 단맛, 고소한 맛과 시큼한 맛이 교차하는 그 거리에서, 삶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한 국자 퍼내는 것이다. 지금 그 냄비 옆에 앉아, 타오르는 불 위에서 태국이라는 나라를 끓여보자.1...

베트남 편 - 냄비의 안과 밖, 베트남의 거리에서

베트남에서 길거리 음식은 단순한 간식이 아니다. 그것은 도시의 리듬이자, 사람들 사이의 무언의 대화이며, 수천 년의 역사와 매일 아침의 노동이 한데 어우러진 공간이다. 호찌민의 오토바이 행렬 옆에서, 하노이의 좁은 골목 끝자락에서, 후에의 시장 구석에서 김을 뿜는 냄비들은 그저 요리하는 도구가 아니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교차로이자, 이야기의 시작점이다.우리가 지금 들여다볼 베트남의 다섯 냄비는 지역을 가로지르고, 세대를 넘으며, 전통과 변화를 동시에 끓여낸다. 그것은 가난한 시절을 기억하고, 전쟁을 겪은 공동체를 위로하며, 이제는 세계인에게 공유되는 베트남의 얼굴이기도 하다. 냄비는 베트남에서 언제나 밖에 있다. 벽 없는 주방, 울타리 없는 식탁. 그래서 이 이야기는 거리의 김이 되어 공기 ..

길위의 냄비 - 당신의 삶은 어디에서, 무엇을 끓이고 있는가?

아스팔트의 열기, 사원의 그늘, 시장의 소란함. 동남아시아의 거리를 걷다 보면 어디선가 피어오르는 김과 함께 냄비 하나가 눈에 들어온다. 그 냄비는 허기를 달래는 용기인 동시에 공동체의 중심이자, 역사의 잔해이자, 내일을 끓이는 희망이다. 이곳의 길 위에 놓인 냄비는 단지 요리를 위한 도구가 아니다. 그것은 삶을 담고, 문화를 끓이며, 기억을 볶는 상징이다.동남아시아에서 냄비는 부엌을 떠나 거리로 나왔다. 시장 골목 어귀에, 버스 정류장 옆에, 사원의 계단 아래에 자리를 잡고 사람들을 모은다. 그 안에는 전통이 담기고, 즉흥이 추가되며, 수많은 사연이 뒤섞여 끓는다. 이 시리즈는 각국의 대표적 거리 음식들을 통해 단지 입을 위한 음식이 아닌, 공동체의 정체성과 일상의 드라마가 담긴 그 '길 위의 냄비'를..

미얀마 편 - 격동 속 식탁 위의 정적

미얀마의 식탁은 조용하지만 강렬하다. 겉보기엔 단출하고 소박해 보이지만, 그 안에는 식민지 시절의 상처, 군부 통치의 흔적, 불안한 정세 속에 피어난 민중의 생명력이 깃들어 있다. 거리의 노점상, 시골 마을의 나무 밑 평상, 사원 옆 작은 찻집까지. 미얀마의 한 끼는 그 나라의 풍경을 고스란히 담아낸다. 우리는 오늘, 양곤의 한 조용한 오후, 맥주 한 잔을 곁들인 다섯 가지 음식 속으로 들어간다.### 1. 라페톡(Laphet Thoke) – 씹을수록 깊어지는 발효의 향라페톡은 발효된 찻잎을 주재료로 하는 미얀마 전통 샐러드로, 땅콩, 콩, 마늘, 마른 새우, 토마토 등을 잘게 썰어 넣어 비빈다. 처음에는 차잎 샐러드라는 개념이 낯설지만, 한입 베어물면 입안에 터지는 감칠맛이 병아리콩으로 만든 미얀마 비..

싱가포르 편 - 고급과 소박, 그 사이의 도시 국가

싱가포르에서 한 끼를 먹는다는 건 단순히 배를 채우는 일이 아니다. 이 조그마한 도시국가는 고층 빌딩 사이의 푸드코트에서부터 미슐랭 스타 노점까지, 요리의 천국이자 실험실이다. 높은 물가와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 환경 속에서, 한 끼의 가격은 곧 삶의 균형을 말해준다. 이 도시는 경제적 여유가 많은 이들에게도, 하루 벌어 하루 먹는 사람들에게도 각기 다른 '식사의 얼굴'을 제시한다.### 1. 하이난 치킨라이스(Hainanese Chicken Rice) – 식민의 흔적, 국민의 선택하이난 치킨라이스는 싱가포르 국민들이 가장 자주 먹는 한 끼 중 하나다. 닭고기를 부드럽게 삶아낸 후 그 육수로 지은 밥과 함께 내는 이 음식은 단순하지만 깊은 풍미를 자랑한다. 간장, 칠리소스, 생강 소스 세 가지를 곁들여 먹..